subvisual

우리 대학원은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습니다.
  1. 교육 현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문제해결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과목들을 중심으로 편성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으로서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교과교육 전공의 경우, 각 교과에 대한 깊이 있는 학문적 식견을 함양함과 동시에, 교과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지도에 필요한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교과목을 균형 있게 편성하고 있습니다.
  3. 원생들의 관심과 차이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다양한 종류의 선택과목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4. 학문의 발전과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사회적 요구 등을 최대한 수렴하여 교과목을 융통성 있게 편성하고 있습니다.
  5. 과목 간의 상호 연계성 배타성 그리고 망라성 등을 철저히 검토하여 다양하고 내실있는 교과목이 편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6. 학문 체계 중심의 교과목 구성 방식 이외에, 문제나 쟁점 등을 중심으로 한 연계 교과목을 적극 개발함으로써 폭넓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7. 정보화세계화 등의 교육 및 사회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과 기술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의 교과목과 교수법을 적극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1. 석사학위 취득에 필요한 총 학점수는 30학점(논문 또는 개별연구과제 포함)으로 합니다.
  2. 교과과정은 공통과목, 전공필수과목, 전공선택과목 및 논문으로 구분하여 편되어 있습니다.
    1. 공통(교직)과목 (과목번호100, 200단위)은 모든 전공에서 공통으로 이수해야하는 과목으로서 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학 과목으로 편성하고 있습니다. 모든 학생은 2과목(4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2. 전공필수과목 (과목번호 300단위) 은 교육대학원 과정의 특징적 교과목으로서 전공분야의 교육이론과 방법 및 전공분야 학문의 기본이 되는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각 전공별로 2과목(4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3. 전공선택과목 (과목번호 400단위) 은 대학원 수준의 학문적 배경과 교육실천에 기반이 되는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각 전공별로 6과목(12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4. 그밖에 공통 또는 전공, 타전공과목에서 논문중심과정은 2과목(4학점), 학점중심과정은 5과목(10학점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2023학년도 졸업생부터 적용)
    5. 논문(6학점) 과목은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최종학기(5학기이상)에만 등록, 이수할 수 있습니다. (2023학년도 졸업생부터 적용)
    6. 교직과목(과목번호 100,200단위)은 교육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제12조에 의거 교원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과목으로 편성하며, 교직과정 이수자는 교직이론과목 6과목(12학점), 교직소양과목 3과목(6학점) 그리고 교육실습 2과목(4학점)을 포함하여 11과목(22학점) 2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3. 교과목이 개설되는 각 전공과정의 고유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국어교육전공 / 12 영어교육전공 / 15 역사교육전공 / 31 수학교육전공 / 36 체육교육전공 / 22 평생교육전공 / 28 교육공학 - 교육행정 융합전공 / 29 상담심리전공


201

교육철학 및 교육사 Educational Philosophy and History 2학점
교육이념, 목적, 과정, 방법 등을 철학적 시각으로 탐구하고 교육현상을 설명하는 철학적 이론 및 그 변천과정을 연구함으로써 교육관의 확립을 도모한다.

202

교육 사회 Educational Sociology 2학점
교육의 사회적 성격과 기능, 교육과 평등과의 관계, 교육내용의 사회성 및 교육과 사회발전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204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최근의 이론과 실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아울러 교육공학적인 방법이 교육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그 의의와 한계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206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2학점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개념과 원리를 연구하며 특히 교육제도, 교육기획, 교육조직 및 인사, 장학, 교육재정, 학교경영 등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태를 고찰한다.

207

e-learning의 이해와 활용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learning 2학점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의 기본 원리 및 의의를 이해하고, e-learning의 설계와 운용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208

생활지도 및 상담 Guidance and Counseling 2학점
생활지도와 상담에 관한 기본개념과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의 심리적, 사회적 성장 및 진로의식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210

교육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2학점
학교 및 사회 현장에서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문제를 찾아 이를 규명하고 연구를 설계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연구방법을 다룬다.

211

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Education 2학점
교육학 전반에 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켜 교직과목 또는 공통과목을 수강하는 기초능력을 기르는 선수과목으로서 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 자질과 투철한 교직관을 갖도록 한다.

212

교육통계학 Statistics in Social Science 2학점
심리학과 교육학을 비롯한 사회과학 영역에서 엄밀한 통제를 거쳐 실증적이고 양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서의 실험연구를 설계하는 기법과,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여 의미 있는 해석과 결론을 이끌어 내는 통계적 기법을 익힌다.

213

교육과정 Curriculum Studies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과정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적 발당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제 운영상의 문제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215

교육심리 Educational Psychology 2학점
인간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특성에 대한 핵심적인 이론을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교육활동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얻는다.

216

인간과 교육 Human Being and Education 2학점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인간의 삷 속에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원리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한다.

217

청소년 문화론 Understanding the Youth Culture 2학점
청소년은 자기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면 나름대로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주체로서 중등학교 학생들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들의 존재를 문화연구의 틀 속에서 이해하고, 그대로의 삶과 문화의 현장을 역동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한다.

218

인권과 교육 Human Rights and Education 2학점
학교를 비롯한 사회전반의 영역에서 볼 수 있는 인권침해 현상을 비판적으로 포착하고,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이루어 가기 위한 교육적 안목과 방법론을 탐색한다.

219

인성교육과 가치교육  Humanity Education and Values 2학점
기존의 인성교육의 의미와 현황 및 한계를 살펴보고, 새로운 접근으로서 사회적 관심과 연대, 인권, 정의, 평화, 자유, 평등, 공동선 등의 시민적·복음적 가치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대안적 방법론을 탐구하고, 그 실천적 시사점과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220

참여교육과 시민교육 Education for Civic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2학점
참여교육과 시민교육의 의미와 시대적 요구, 민주화와의 관련성 등을 고찰하고, 학교 및 평생교육기관에서 실행할 올바른 참여교육과 시민교육의 방법론과 과제를 모색한다.

221

사이버 윤리와 저작권 Cyber Ethics & Copy Rights 2학점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사이버 공간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행동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론을 습득한다. 아울러 정보화시대의 맥락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 저작권의 의미와 침해 유형, 구제 및 보호방법 등에 대해 탐색한다.

222

국제이해교육 Education for Global Understanding 2학점
국제이해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탐구하고, 평화, 인권, 발전, 환경, 과학기술, 문화 등의 세계적 이슈에 대해 실천적 지식과 안목을 함양한다.

223

교육통계학 실습 Practice of Statistics in Education 2학점
심리학을 비롯하여 사회과학 영역에서 실험연구를 설계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패키지를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해석과 결론을 보고하는 방법을 익힌다.

224

특수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2학점
특수교육의 발달 및 최근 연구동향, 특수 아동 및 영재아에 대한 정의 및 특성, 교육적 프로그램을 이해한다. 특히, 통합교육과 관련된 여러 쟁점과 교육방법을 학습하여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될 예비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225

교육평가 Educational Evaluation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평가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평가도구의 개발, 시행, 절차, 결과 해석 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226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Preventing and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2학점
학교 폭력의 다양한 원인과 발생 양상을 검토하여 학교 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 대책과 대처 방안 등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내용을 다룬다.
227 

교직실무 Practical Works in School 2학점

중·고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지도, 생활지도, 행정처리 등의 요령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습득하고 교직윤리, 사회변화 및 학생문화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해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실무지식을 함양한다.

228

AI 활용교육의 이해와 적용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ducation 2학점
초중등, 대학 및 성인 학습자 대상 교육에 있어 AI를 활용한 학습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229

빅데이터의 이해와 교육적 활용 Implementation of Big Data in Educaiton 2학점
미래지향적인 교육조직을 경영하는 데 있어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 이해, 활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습득한다.


교직과목
  1.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교직과목을 11과목(2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합니다.
  2.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표 1> 교직과정 영역별 이수내역을 모두 이수하여야 합니다.
    1. 교직과정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1학기 초 소정기간에 교직과정 이수 신청서를 행정실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2. <표1>의 교직과정 11과목(2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합니다.
    3. 교육실습에 참가하는 학생은 소정의 실습비를 납부해야 합니다.
    4. 소정의 절차에 따라 교직과정을 이수한 학생은 졸업학기중 소정기간에 '교원자격 무시험 검정원서'를 행정실에 제출해야 합니다.

  3. <표Ⅰ> 교직과정 영역별 이수내역

    영 역 과목번호 과목명 학 점 비 고
    교직이론
    (12학점 이상)
    EDUR121
    EDUR122
    EDUR123
    EDUR124
    EDUR125
    EDUR136
    EDUR126
    EDUR127

    교육학 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회
    교육심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2
    2
    2
    2
    2
    2
    2
    2
    교육부 지정
    교직이론과목

    EDUR210
    EDUR212
    EDUR218
    EDUR219
    EDUR222

    EDUR228

    EDUR229

    교육연구방법론
    교육통계학
    인권과 교육
    인성교육과 가치교육
    국제이해교육
    AI활용 교육의 이해와 적용 (추가)
    빅데이터의 이해와 교육적 활용 (추가)

    2
    2
    2
    2
    2
    2
    2
    본교 지정
    기타 교직이론과목
    교직소양
    (6학점
    /7학점)
    EDUR132
    EDUR133
    EDUR131
    EDUR137
    EDUR138
    특수교육학론
    교직실무
    생활지도 및 상담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디지털 교육
    2
    2
    2
    2
    1
    교육실습
    (4학점)
    EDUR134
    EDUR135
    학교현장실습
    교육봉사활동
    2
    2

- <생활지도 및 상담> 2021학년도부터 학교 폭력예방 내용이 50%이상 포함되어 교직 소양으로 인정

- 공립 중등교육 임용시험을 응시 할  학생은 교육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과목을 우선 이수하기를 권장함.

- <디지털 교육> 2024학년도 1학기 신입생(66기)부터 교직과정 이수자들의 교직소양 필수 이수과목임


교직이론 영역

121

교육학 개론 Introduction to Education 2학점
교육학 전반에 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켜 교직과목 또는 공통과목을 수강하는 기초능력을 기르는 선수과목으로서 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적 자질과 투철한 교직관을 갖도록 한다.

122

교육철학 및 교육사 Educational Philosophy and History 2학점
교육사상과 교육제도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밝혀, 현대교육의 역사, 철학적 기초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123

교육사회 Educational Sociology 2학점
교육의 사회적 성격과 기능 및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이해시킴으로써 학교에서 배운 것을 지역사회 발전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24

교육심리 Educational Psychology 2학점
인간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특성에 대한 핵심적인 이론을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교육활동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얻는다.

12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최근의 이론과 실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교육평가의 의의와 방법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는다. (2008학년도까지 입학생 중 미 이수자의 경우 2009학년도 이후 개설되는 125 교육과정, 136 교육평가 과목 중 한 과목 이수 요망)

126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최근의 이론과 실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아울러 교육공학적인 방법이 교육에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그 의의와 한계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127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2학점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개념과 원리를 습득시키며, 특히 교육제도, 교육행정조직, 교원인사, 장학, 학교경영, 학급경영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이해시킨다.

131

생활지도 및 상담 Guidance and Counseling 2학점
생활지도와 상담에 관한 기본개념과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의 심리적, 사회적 성장 및 진로의식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136

교육평가 Educational Evaluation 2학점
교육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평가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평가도구의 개발, 시행, 절차, 결과 해석 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교 직 소 양

132

특수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2학점
특수교육의 발달 및 최근 연구동향, 특수 아동 및 영재아에 대한 정의 및 특성, 교육적 프로그램을 이해한다. 특히, 통합교육과 관련된 여러 쟁점과 교육방법을 학습하여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될 예비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133

교직실무 Practical Works in School 2학점
중고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습지도, 생활지도, 행정처리 등의 요령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습득하고 교직윤리, 사회변화 및 학생문화의 특성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해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실무지식을 함양한다.

137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Preventing and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2학점
학교 폭력의 다양한 원인과 발생 양상을 검토하여 학교 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 대책과 대처 방안 등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내용을 다룬다

138 

디지털교육 Digital Education 1학점

교사로서 디지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디지털의 이해', '디지털 교과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 윤리'를 학습하여 교과목 및 교육방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교 육 실 습

134

학교현장실습 Teaching Practice 2학점
(2008학년 이전 입학자의 교육실습 대체)
학교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지도 및 학생지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중고등학교에서 4주간의 실습과정을 거치고, 그 경험을 반성적으로 해석발전시켜갈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안목을 습득한다.

135

교육봉사활동 Teaching Service Practicum 2학점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보충학습지도 및 교사업무보조 등의 교육봉사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학교현장실습이 4주간 집중적으로 실시되는 것과 달리, 한 학기동안 소정의 시간을 봉사기관과의 협의 하에 이행한다).
교직과정이수 및 교원자격 무시험 검정 지침
  1. 이 지침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이하 “교육대학원”이라 한다) 학생 중 교직과정이수 및 교원자격 무시험검정 (이하 “무시험검정”이라 한다)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수반되는 제반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하여 교직과정을 이수하려는 학생은 이 지침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2. (무시험검정 기본 요건) 무시험검정 희망자는 다음 각 호의 기본 요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
    1. 교육대학원의 전공과정과 대학의 전공이 동일 또는 관련학과 졸업생이어야 합니다. <별표3 참조>
    2. 교육대학(4년제)에서 심화과정을 이수한 학생으로서 교육대학원의 전공이 관련과정이면 관련학과 졸업생으로 인정합니다.
    3. 무시험검정에 의하여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표시과목의 관련학과에서 이수하여야 하는 전공과목(42학점 이상)에는 기본 이수영역(14학점 이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별표3 참조>
    4. 교직과목은 영역별로 교직이론 영역 12학점 이상, 교직소양 6학점 이상, 교육실습 4학점을 취득해야 합니다.
  3. (무시험검정 신청) 무시험검정 희망자는 졸업학기 중 소정기간에 교원자격 무시험검정 원서 및 기타필요서류를 행정실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4. (자격증 표시과목) 각 전공별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 표시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5. 전 공 중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 표시과목

    국어교육

    국 어

    영어교육

    영 어

    역사교육

    역 사

    수학교육

    수 학

    체육교육

    체 육


1. 중등 교원자격증 표시과목의 관련학부(과)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표 2> 교원자격증 표시과목별 관련학부(과) 및 기본이수과목

표시과목 관련학과 또는 학부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비고

국어
Korean Language

국어교육, 국어국문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학과)
(1)국어교육론
(2)국어학개론, 국어문법론, 국어사
(3)국문학개론, 국문학사
(4)문학교육론(소설교육론 또는 시가교육론, 또는 희곡교육론, 또는 수필교육론)
(5)의사소통교육론(표현교육론, 이해교육론)
(1) - (5)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영어
English

영어교육, 영어영문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학과)
영어교육론(또는 멀티미디어영어교육론, 또는 외국어교육론), 영어학개론, 영문학개론, 영어문법(또는 영어문법지도법), 영어회화(또는 실용영어, 또는 영어말하기지도법), 영어작문(또는 영어쓰기지도법), 영어독해(또는 영어읽기지도법), 영어음성음운론, 영미문화

역사
History

역사교육, 역사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 학과)
(1)역사교육론(또는 사회교육론)
(2)역사학개론(역사학개론,사료강독)
(3)분야사(한국근현대사, 한국사회경제사, 한국사상·문화사, 한국대외교류사, 동서교류사, 사학사)
(4)한국사(한국고대사, 한국중세사, 한국근세사, 한국근대사)
(5)세계사(동아시아 고대사, 동아시아 중세사, 동아시아 근대사, 서양고대사, 서양중세사, 서양근대사, 인도?동남아시아사, 서남아시아?아프리카사, 아메리카사)
(6)현대사(한국현대사, 동아시아현대사, 서양현대사, 20세기현대사, 현대세계와 한국)
(1) - (5)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수학
Mathematics

수학교육, 수학, 전산통계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학과)
수학교육론, 정수론, 복소해석학, 해석학, 선형대수, 현대대수학, 미분기하학, 기하학일반, 위상수학, 확률 및 통계, 조합 및 그래프이론

체육
Physical Education

체육교육, 체육학, 무용(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 학과)
체육교육론, 체육사?철학, 스포츠사회학,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체육측정 평가, 건강교육, 무용교육, 운동실기, 특수체육, 운동학습 및 심리, 여가레크리에이션

2. 전문상담교사 (2급)의 관련학부(과)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자격종별 관련학부(전공)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전문상담교사(2급) 상담.심리학 및 관련되는 학부
(전공 학과)
심리학개론, 심리검사, 성격심리학, 특수아동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진로상담, 상담이론과 실제, 심리치료(또는 임상심리학), 아동심리학, 청소년심리, 상담실습, 직업교육론, 직업정보, 진로지도, 학습심리학, 이상심리학

3.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은 1학기 초 소정기간에 '교육과정 이수 신청서'를 행정실에 제출해야 한다. 또한 소정의 절차에 따라 교직 과정을 이수한 학생은 5학기 중 소정기간에 '교원자격 무시험검정 원서'를 행정실에 제출하여야 한다. (중등학교 정교사(2급), 부전공, 전문상담교사 모두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