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전공은 교육전문가로 하여금 현장에서 부딪치는 제반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고, 국어교재분석 및 강의준비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국어교수법이론과 언어이론 및 국문학 각 장르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그것을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시각을 마련한다.
전공필수과목 Requirements (택2)
(교원자격증 취득 예정자는 아래의 국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국어교과교육론, 국어교과논리 및 논술 3과목을 모두 이수해야함)
311. 국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Teaching Methodology and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교육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재료를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실제 교실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 지도법을 연구한다.
314. 국어 교과교육론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교육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어 교과 교육의 목적,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각론을 이해한다.
315. 국어교과 논리 및 논술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s in Korean Education 2학점
국어 교과 고유의 교과적 논리와 가치를 이해하고, 국어과 교육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한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316. 국어과평가론 Studies in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과 평가의 이론과 방법을 검토하고, 평가 도구를 비평하고 제작해 봄으로써 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킨다. 나아가 평가 도구가 학교 현장 및 사회에 주는 효과를 고찰하고, 그 순기능과 역기능을 평가한다.
311. 국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Teaching Methodology and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교육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재료를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실제 교실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 지도법을 연구한다.
314. 국어 교과교육론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교육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어 교과 교육의 목적,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각론을 이해한다.
315. 국어교과 논리 및 논술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s in Korean Education 2학점
국어 교과 고유의 교과적 논리와 가치를 이해하고, 국어과 교육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한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316. 국어과평가론 Studies in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학점
국어과 평가의 이론과 방법을 검토하고, 평가 도구를 비평하고 제작해 봄으로써 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킨다. 나아가 평가 도구가 학교 현장 및 사회에 주는 효과를 고찰하고, 그 순기능과 역기능을 평가한다.
전공선택과목 Electives
412. 작문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omposition 2학점
작문 행위란 개인적 성장의 토대이자, 사회적·직업적 소통의 도구가 되며, 특히 지식을 학습하고 생산하는 도구가 됨을 이해하고, 형식주의·구성주의·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및 장르 중심 이론에 따라 학습자의 작문 행위와 교수 학습의 초점이 달라짐을 이해한다. 특히 최근 디지털 환경에서 작문 행위가 가져온 변화를 탐구하고, 그에 따라 작문 교수 학습 모형을 유연하고 타당하게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413. 화법교육론 Teaching Method of Speech 2학점
정확하고 명확한 말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방법으로부터 예의 바르고 아름다운 표현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것 등의 화법 교육을 연구한다.
414. 국어음운론연구 Korean Phonology 2학점
음운 이론에 기초하여 표준 공통어의 음운체계와 여러 가지 발음 규칙을 익히고, 각 방언의 음운체계와 발음 규칙을 알아 올바른 발음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15. 학교문법론 School Grammar 2학점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와 국어 문법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여 올바르고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법을 연구한다.
416. 국어통사론연구 Korean Syntax 2학점
통사 이론에 의거하여 국어 문장 구조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그 지식을 활용하여 작문 지도와 독해력 배양의 방법을 연구한다.
417. 어휘교육론 Teaching Method of Lexicon 2학점
국어 어휘를 이루는 단어와 형태소의 의미, 조어 방법, 어휘의 생성과 사멸 등을 연구하고 중등학교에서의 어휘 교육 단계와 방법을 연구한다.
418. 국어사 연구 History of Korean Language 2학점
국어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소개하고 그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기본적 원리들을 연구한다.
420. 매체언어교육론Teaching Method of Korean in Multimedia Society 2학점
다양한 매체의 유형과 기능을 살피고 그를 이용하여 국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론과 그 실제를 교수한다.
421. 문학교육론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2학점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고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하며 작품 창작 원리 등의 제반 문학 교육을 위한 이론을 연구한다.
422. 고전문학사 연구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2학점
고전 문학의 사적 변천 과정을 소개하고 각 시대별 문학적 특징을 연구하여 고전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23. 현대문학사 연구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2학점
개화기 이후 우리 문학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현대 문학의 특징을 연구하여 현대문학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24. 담화 텍스트 교육론 Teaching on Discourse and Text 2학점
담화 텍스트 이론이 국어교육 및 문법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기능 및 텍스트 유형과 관련된 국어교육적 쟁점을 탐구한다.
425. 국어 규범 교육론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2학점
중등학교 학습자들의 국어 생활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 규범 교육의 목표를 정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탐구성과 규범성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는 문법 교육의 논리를 전제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창의적 방안을 모색 한다.
426. 교육 연극 Educational Drama/Theater 2학점
교육 연극은 연극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자신과 사회 그리고 역사에 대해 새로운 시각 으로 인식하고, 변화 가능성을 타진하는 교육 방법론이다. 이 과목에서는 교육연극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하는 실습을 목표로 한다.
432. 고전시가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lassical Poetry 2학점
고전 시가 작품들의 공시적 동질성과 통시적 의미를 찾고 고전 시가 교육을 통하여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433. 고전소설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lassical Fictions 2학점
고전 소설 작품들의 공시적 동질성과 통시적 의미를 찾고 고전 소설 교육을 통하여 전통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상력을 기르는 방법을 연구한다.
435. 구술문학교육론 Teaching Method of Oral Literature 2학점
구술문학의 시대적 장르적 특성을 검토하고 기록 문학으로 정착하기까지의 변천 과정을 연구한다.
439. 문화예술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ulture and Art 2학점
국문학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심도 있게 탐구하며, 실제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를 감상하고 그 교육적 의의와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441. 독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Reading 2학점
글을 읽어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방법, 정확하고 빠른 독해력과 문학 작품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한다.
442. 현대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Modern Poetry 2학점 개화기 이후의 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작품들의 의미, 구조, 미학적 특징 등을 이해하고 시 교육을 통한 정서 함양과 상상력 향상 방법을 연구한다.
443. 현대소설교육론 Teaching Method of Modern Fictions 2학점
개화기 이후의 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각 작품들의 의미, 구조, 미학적 특징 등을 이해하고 소설 교육을 통한 사회의식 함양과 창의력 향상 방법을 연구한다.
445. 희곡 및 시나리오 교육론 Teaching Method of Drama 2학점
연극과 영화의 종합 예술적 미학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연극을 연출하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연구한다. 더 나아가 연극과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탐구하고, 학생들이 연극과 영화를 통해 세상과 자신에 대한 시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 한다.
446. 수필교육론 Teaching Method of Essay 2학점
소재와 주제, 상황과 관점, 단락과 구성 등의 유기적 분석을 통해 수필의 심미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성찰이나 비판의식 등 수필 교육 목표에 이를 수 있는 지도 방법론을 연구한다.
447. 문학주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Literary Thematics 2학점
테마·모티브·이미지·상징 등의 지속과 변화상을 탐색하여 문학사적 통합원리를 지향하는 문학주제학적 방법을 응용하여 문학 주제 교육의 심층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토론식 문학 수업이나 수행평가 방안과 연계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을 연구한다.
작문 행위란 개인적 성장의 토대이자, 사회적·직업적 소통의 도구가 되며, 특히 지식을 학습하고 생산하는 도구가 됨을 이해하고, 형식주의·구성주의·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및 장르 중심 이론에 따라 학습자의 작문 행위와 교수 학습의 초점이 달라짐을 이해한다. 특히 최근 디지털 환경에서 작문 행위가 가져온 변화를 탐구하고, 그에 따라 작문 교수 학습 모형을 유연하고 타당하게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413. 화법교육론 Teaching Method of Speech 2학점
정확하고 명확한 말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방법으로부터 예의 바르고 아름다운 표현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것 등의 화법 교육을 연구한다.
414. 국어음운론연구 Korean Phonology 2학점
음운 이론에 기초하여 표준 공통어의 음운체계와 여러 가지 발음 규칙을 익히고, 각 방언의 음운체계와 발음 규칙을 알아 올바른 발음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15. 학교문법론 School Grammar 2학점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와 국어 문법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여 올바르고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법을 연구한다.
416. 국어통사론연구 Korean Syntax 2학점
통사 이론에 의거하여 국어 문장 구조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그 지식을 활용하여 작문 지도와 독해력 배양의 방법을 연구한다.
417. 어휘교육론 Teaching Method of Lexicon 2학점
국어 어휘를 이루는 단어와 형태소의 의미, 조어 방법, 어휘의 생성과 사멸 등을 연구하고 중등학교에서의 어휘 교육 단계와 방법을 연구한다.
418. 국어사 연구 History of Korean Language 2학점
국어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소개하고 그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기본적 원리들을 연구한다.
420. 매체언어교육론Teaching Method of Korean in Multimedia Society 2학점
다양한 매체의 유형과 기능을 살피고 그를 이용하여 국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론과 그 실제를 교수한다.
421. 문학교육론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2학점
문학 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고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하며 작품 창작 원리 등의 제반 문학 교육을 위한 이론을 연구한다.
422. 고전문학사 연구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2학점
고전 문학의 사적 변천 과정을 소개하고 각 시대별 문학적 특징을 연구하여 고전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23. 현대문학사 연구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2학점
개화기 이후 우리 문학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현대 문학의 특징을 연구하여 현대문학 교육을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
424. 담화 텍스트 교육론 Teaching on Discourse and Text 2학점
담화 텍스트 이론이 국어교육 및 문법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기능 및 텍스트 유형과 관련된 국어교육적 쟁점을 탐구한다.
425. 국어 규범 교육론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2학점
중등학교 학습자들의 국어 생활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 규범 교육의 목표를 정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탐구성과 규범성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는 문법 교육의 논리를 전제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창의적 방안을 모색 한다.
426. 교육 연극 Educational Drama/Theater 2학점
교육 연극은 연극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자신과 사회 그리고 역사에 대해 새로운 시각 으로 인식하고, 변화 가능성을 타진하는 교육 방법론이다. 이 과목에서는 교육연극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하는 실습을 목표로 한다.
432. 고전시가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lassical Poetry 2학점
고전 시가 작품들의 공시적 동질성과 통시적 의미를 찾고 고전 시가 교육을 통하여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433. 고전소설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lassical Fictions 2학점
고전 소설 작품들의 공시적 동질성과 통시적 의미를 찾고 고전 소설 교육을 통하여 전통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상력을 기르는 방법을 연구한다.
435. 구술문학교육론 Teaching Method of Oral Literature 2학점
구술문학의 시대적 장르적 특성을 검토하고 기록 문학으로 정착하기까지의 변천 과정을 연구한다.
439. 문화예술교육론 Teaching Method of Culture and Art 2학점
국문학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심도 있게 탐구하며, 실제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를 감상하고 그 교육적 의의와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441. 독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Reading 2학점
글을 읽어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방법, 정확하고 빠른 독해력과 문학 작품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한다.
442. 현대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Modern Poetry 2학점 개화기 이후의 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작품들의 의미, 구조, 미학적 특징 등을 이해하고 시 교육을 통한 정서 함양과 상상력 향상 방법을 연구한다.
443. 현대소설교육론 Teaching Method of Modern Fictions 2학점
개화기 이후의 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각 작품들의 의미, 구조, 미학적 특징 등을 이해하고 소설 교육을 통한 사회의식 함양과 창의력 향상 방법을 연구한다.
445. 희곡 및 시나리오 교육론 Teaching Method of Drama 2학점
연극과 영화의 종합 예술적 미학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연극을 연출하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연구한다. 더 나아가 연극과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탐구하고, 학생들이 연극과 영화를 통해 세상과 자신에 대한 시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 한다.
446. 수필교육론 Teaching Method of Essay 2학점
소재와 주제, 상황과 관점, 단락과 구성 등의 유기적 분석을 통해 수필의 심미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성찰이나 비판의식 등 수필 교육 목표에 이를 수 있는 지도 방법론을 연구한다.
447. 문학주제교육론 Teaching Method of Literary Thematics 2학점
테마·모티브·이미지·상징 등의 지속과 변화상을 탐색하여 문학사적 통합원리를 지향하는 문학주제학적 방법을 응용하여 문학 주제 교육의 심층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토론식 문학 수업이나 수행평가 방안과 연계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을 연구한다.
448. 문학비평연구 Modern Criticism 2학점
현대 비평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한국 비평론의 핵심 국면을 이해한다.
451. 한국한문학교육론 Teaching Method of Korean-Chinese Classics 2학점
한자 및 한문 교육을 위한 기본 소양을 기르기 위하여 한문 문법, 문장 구조, 한자 하나 하나의 다양한 용법 등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한문학 작품들의 의미, 구조, 미학적 특징을 연구하여 공시적 동질성과 통시적 의미를 부여하고 교육 방법을 연구 한다.
453. 국어과 교육과정론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2학점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사를 분석해 봄으로써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의 핵심 쟁점을 도출해 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과정 정책의 최신 쟁점을 반영하여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설계한다.
454. 국어교육연구 방법론 Methodology of Research in Korean Language ducation 2학점
국어교육학 각 분야의 대표 학자와 논문 목록을 바탕으로 영역별 질적, 양적 전통을 고찰하면서 인식론과 방법론의 차이를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졸업 논문 작성에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익힌다.
455. 국어학통론 Practice of Korean Linguistics 2학점
국어학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핵심 쟁점을 파악함으로써 국어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다.
456. 국어형태론연구 Korean Morphology 2학점
형태론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국어 조어론과 굴절론에 대해 이해한다.
457. 국어생활사연구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학점
문화적 차원의 거시적인 안목에서 국어와 국어 문화의 변화 양상을 살핀다.
458. 국문학통론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2학점
국문학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핵심 쟁점을 파악함으로써 국문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다.
459. 현대시론연구 Study on Theory of Modern Korean Poetry 2학점
1920년대 안서에서부터 임화, 김기림, 조지훈, 김수영, 김지하, 황지우 등의 시인의 시론을 읽는다. 상징주의에서부터 모더니즘, 주지주의, 리얼리즘, 참여비평, 포스트모더니즘 등에 이르는 한국 현대 시인들의 시론을 직접 읽고 시인들의 시와 시론의 비평적 접근을 탐색한다.
460. 다문화 시대 한국어교육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학점
다문화와 국제화의 환경에 따라 국어과 교육과정 내에서도 한국어교육 관점을 도입해야 하는 필연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변인의 다양성을 파악, 그에 따른 교육 방안을 탐색한다.
461. 국어교육 세미나 Seminar o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2학점
국어교육 정책과 연구, 학교 현장의 실천적 쟁점 등 국어교육 전반에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최신 문헌을 함께 읽고 토론한다.
462. 국어교육 현장 세미나(캡스톤디자인) Field seminar on Korean Education(Capstone Design) 2학점
(구:국어교육 현장 세미나) 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최신 교육 정책과 교수법을 조사하고, 국어교육 학계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논문이나 단행본을 함께 읽으면서 교육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폭넓게 신장한다.
550. 논문 Thesis 6학점
논문은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최종학기(5학기 이상)에만 등록,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학점은 6학점으로 한다.
560. 개별과제연구 Independence Study 4학점
개별과제연구는 학점중심과정을 선택한 학생이 석사학위 청구를 위하여 이수하는 과목으로 최종학기(5학기 이상)에만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학점은 4학점으로 한다.